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굴착기(굴삭기) 운전 기능사 필기 이론 정리 1탄 - 시험 합격을 위한 핵심 요약

by 경리업무 하는 기므네 2025. 6. 19.

토목기사 자격증보다는 굴착기를 먼저 따야할까?

 

 

굴착기(기존 용어: 굴삭기)는 건설기계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장비입니다.



 

1. 굴착기의 개요와 구조

- 굴착기(Excavator): 자체중량 1톤 이상으로, 무한궤도식 또는 타이어식 구동 장치를 가진 건설 기계입니다.

- 주요 구조:

작업장치: 붐, 암, 버킷으로 구성되어 굴착 및 적재 작업 수행

상부회전체: 운전석(캐빈), 엔진, 밸런스웨이트 포함

하부주행체: 트랙, 롤러, 주행 모터 등으로 주행 담당

2. 작업장치의 종류와 특징

- 백호(Backhoe): 장비보다 낮은 곳 굴착에 적합

- 쇼벨(Shovel): 장비보다 높은 곳 굴착

- 크램쉘: 배수구나 강바닥 수직 굴착용

- 브레이커: 암반·콘크리트 파괴용

- 그래플: 원목 집기·운반용

- 이젝터: 점토 등 점착성 물질 배출

- 파일 드라이버: 파일을 박는 작업에 사용

- 어스오거: 땅에 송곳처럼 굴착

- 크러셔: 철거용 집게 가위 형태

3. 무한궤도식 vs 타이어식 비교

무한궤도식(Crawler): 연약지반에 강함, 2km 이상은 트레일러 이동 필요

타이어식(Wheel): 기동성 우수, 도로 주행 가능, 연약지반에 약함

4. 유압장치 작동 원리

- 붐, 암, 버킷은 유압 실린더로 작동

- 주요 유압 실린더

① 붐 실린더: 붐 상하 운동

② 암 실린더: 암 전후 이동

③ 버킷 실린더: 버킷 오므리기·벌리기

- 유압 누출 시 붐 자연 하강량 증가

- 레버 과도 사용 시 릴리프 밸브 손상 위험

5. 하부 주행체 구성요소

- 트랙 구성: 트랙슈, 슈볼트, 링크, 핀, 부싱, 더스트 씰

- 상부롤러(캐리어 롤러): 트랙 쳐짐 방지

- 하부롤러(트랙 롤러): 무게 지지

- 아이들러: 장력 유지 및 방향 유도

- 스프로킷: 주행모터와 연결된 구동 톱니바퀴

6. 조작 레버 사용법

- 좌측 레버: 암 조작 및 상부회전체 회전

- 우측 레버: 붐 높이 조절 및 버킷 작동

7. 자주 나오는 시험 포인트

- 버킷 이빨 1/3 마모 → 교환

- 슬로프 피니시드 버킷 → 경사 평탄 작업

- 센터 조인트 → 유압 호스 꼬임 방지

- 피벗턴 vs 스핀턴 → 주행 모터 활용 차이

- 릴리프 밸브와 시트 손상 → 과도한 레버 조작 시

8. 정비 주기 및 주요 항목

주간정비 (50시간): 침전물 배출, 팬벨트, 오일 점검

분기정비 (500시간): 브레이크 디스크, 오일 필터 점검

반년정비 (1000시간): 엔진 밸브 조정, 냉각 계통 세척

연간정비 (2000시간): 작동유, 냉각수, 차동장치 오일 교환

 

마무리

굴착기 운전 기능사 필기 시험은 이해 중심의 반복 학습이 가장 효과적입니다.

위 내용을 꼼꼼히 정리하고 기출 문제와 병행 학습하면 단기간 내 60점 이상 합격도 가능합니다.